본문 바로가기
회계/더존 Smart A 실무

더존 스마트A - 업무용승용차등록 및 관리

by 이뚱땅
728x90

 

오늘은 업무용 승용차등록 기초세팅에 대한 방법입니다.

업무용 승용차등록은 회사에서 사용하는 차량에 들어가는 비용을 정확하게 관리하기 위한 필수항목입니다.

기초세팅만 잘해두면 결산시에 아주 유용하게 쓰일 업무용 승용차등록 기초세팅방법에 대해 지금 바로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1] 업무용 승용차등록

회계 - 기초데이터 - 기초정보관리 > 업무용 승용차등록

 

 

업무용 승용차 등록을 위해서는 먼저 고정자산코드가 등록되어 있어야 합니다.

회계 - 고정자산/자금예산 - 고정자산관리 > 고정자산등록

 

 

이전 취득된 차량은 1. 기초가액에 입력

신규취득된 차량은 4. 신규취득 및 증가에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업무용 승용차는 2016년 이후 취득한 경우 정액법 5년 상각입니다.

 

 

 

이후 다시 업무용 승용차등록으로 돌아와서

다시 한번 2. 고정자산코드 부분을 눌러주시면 고정자산등록에서 등록한 차량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경비구분이나 보험가입여부 보험가입기간 등을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저희 회사는 제조업이 아니기 때문에 경비구분은 800번대로 표시해 두었습니다.

 

 

 

 

[2] 업무용 승용차 차량관리-일반전표입력 

회계 - 재무회계 - 전표관리 > 일반전표입력

 

 

업무용 승용차등록 후 일반전표에서 차량과 관련된 비용을 지출할 때 해당전표를 선택 F3단축키를 누르면

업무용 승용차 관리 입력사항이 하단에 나타납니다.

해당승용차코드를 선택 후 비용구분 ( 유류비, 보험료 등 ) 하여,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업무용 승용차관리비용은 업무용 승용차를 취득, 유지하기 위해 지출한 총비용을 뜻하며

감가상각비를 포함한 유류비 보험료 수리비 자동차세 통행료 등이 모두 포함된 비용입니다.

 

 

 

이렇게 입력된 내용은 [회계] - [재무회계] - [보고장부 I - 차량비용현황(업무용 승용차)]  메뉴에서 확인가능합니다.

결산 시 업무용 차량 비용을 조회하여, 노란 박스위치에 차량유지비의 총합계가 확인되는데

이 금액이 1500만 원 이상이면 해당차량에 대해 운행기록부 작성, 그렇지 않다면 생략하셔도 됩니다.

 

 

 

 

 

[3] 업무용 승용차 운행기록부 - 결산준비 

회계 - 기초데이터 - 기초정보관리 > 업무용 승용차등록

 

위에서 언급한 대로 총 1500만 원까지 비용이 인정되기 때문에 차량유지비로 1500만 원 이상을 사용하였다면 차량운행기록부를 작성, 1500만원 이하라면 별로 기록부 없이 비용인정 가능합니다.

 

 

엑셀서식을 다운로드하여 작성 후 업로드하면 업무용 승용차 관련 결산준비가 끝이 납니다.

오늘도 부족한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300x250